C Study - Orientation
시작하기
C언어 스터디를 시작하면서...
우선 시 한편을 읽어보도록 합시다.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오. (길은막다른골목이적당하오.) 제1의아해가무섭다고그리오. 제2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3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4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5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6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7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8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9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10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11의아해가무섭다고그리오. 제12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13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13인의아해는무서운아해와무서워하는아해와그렇게뿐이모였소.(다른사정은없는것이차라리나았소) 그중에1인의아해가무서운아해라도좋소. 그중에2인의아해가무서운아해라도좋소. 그중에2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 그중에1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 (길은뚫린골목이라도적당하오.)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지아니하여도좋소.
이상, "오감도" (시제1호)
위 시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컴퓨터에 출력할 수 있을까요? 메모장에서 printf() 만을 이용하는 하드코딩을 할 수도 있겠지만, (속도 면에서는 하드코딩이 효과적입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면 좀 더 손쉽게 위 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에디터 이용하기
Sublime Text 및 gcc 설치하기
에디터의 기능을 이용하자
Sublime Text / VSCode의 Ctrl + Shift + D 이용하기
서브라임 텍스트의 Ctrl + Shift + D 기능이 있습니다. 커서가 가르키고 있는 줄을 몽땅 복사해서 다음 줄에 그대로 출력해주는 기능입니다. 시를 보면 "제2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부터 "제13의아해도무섭다오그리오"까지 숫자를 제외하면 문자열이 똑같다는 것을 확인하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코딩할 수 있습니다.
1) 다음과 같이 코드를 적는다.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제의아해도무섭다오그리오.");
}
2) printf() 줄에 커서를 향하게 하고 Ctrl + Shift + D를 11번 눌러주어 12줄을 만든다.
3) 숫자가 들어갈 부분에 2부터 13까지 채워 넣는다.
4) 제2의아해... 앞부분에 printf("제1의아해가무섭다고그리오"); 또한 채워넣고, 나머지 내용도 채워넣는다.
Sublime Text - Auto Increment Package 이용하기
위 방법에서 2부터 13까지 숫자를 자동으로 채워넣어줄 수도 있습니다. 코드를 지우고 아래 과정을 학습합니다.
1) 위 1번 코드를 적는다.
2) printf() 줄에 커서를 향하게 하고 Ctrl + Shift + D를 11번 눌러주어 이번엔 13줄을 만든다.
1) Ctrl + Shift + P 를 누른 뒤 나타나는 텍스트박스에 "Install Package"를 입력한후 엔터키를 누른다. (다 입력하지 않아도 아래 표시가 되면 엔터를 눌러도 된다.)

2) 잠시 기다리면 다시 텍스트박스가 나타나는데 "Increment Selection"을 입력한 후 엔터를 누른다. 설치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데, 왼쪽 아래에 설치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3) 숫자 2부터 13까지 들어갈 부분을 선택해야 한다. 그 방법으로, 숫자가 들어갈 부분의 첫번째 줄, 즉 숫자 2가 들어갈 "제"와 "의아해가..." 사이에 커서를 두고, 가운데 버튼을 클릭하여 13이 들어갈 자리까지 쭉 끌어내린다.
4) Ctrl + Shift + i 를 누르면 1부터 13까지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첫번째 행의 "제1의아해도"를 "제1의아해가"로 변경한다.
5) 나머지 내용도 채워넣는다.
nano + gcc 이용하기
1) Bash를 연다.
2) c 파일을 만들 경로로 이동한다. (cd를 이용하려 경로 이동을 한다. 선택사항)
3) 다음 명령어를 친다.
nano hello.c
4) 나노 에디터가 열리면 다음과 같이 타이핑한다.
#include <stdio.h>
void main() {
printf("Hello World!");
}
5) Ctrl + X를 누른 뒤 엔터를 친다.
6) 다음 명령어를 친다.
gcc hello.c -o hello
./hello
ls 명령어를 치면 hello.c와 hello 두 개의 파일이 만들어져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에디터인 nano를 이용하여 hello.c 파일이 만들어진 것이고, gcc라는 c 컴파일러를 이용하여 hello라는 실행 프로그램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또한 ./hello를 호출함으로써 "Hello World!"라는 문자열이 출력되는 모습도 수 있습니다.
nano 에디터보다 비교적 다루기 어려운 vi 에디터를 이용하는 것을 끝으로 해보겠습니다.
vi + gcc 이용하기
1) 위 nano + gcc 단계를 모두 거친다.
2) 다음 명령어를 친다.
vi hello.c
3) vi 에디터가 열리면 앞서 코딩했던 구문이 표시된다. 키보드 hjkl가 각각 왼쪽, 아래쪽, 위쪽, 오른쪽 방향키가 된다. 4개의 키를 이용하여 printf("Hello 다음으로 이동한다.
4) i를 눌러 삽모드로 전환한다.
5) 이제 현재 커서에서 키보드로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데, 3째줄 다음과 같이 바꾼다.
printf("Hello C World!");
6) Esc를 눌러 삽입모드를 나간다.
7) :wq 를 타이핑하여 저장 및 나간다.
8) 다음 명령어를 친다.
gcc hello.c -o hello
./hello
"Hello C World!"로 표시가 되는지 확인하면 된다.
Last updated